사업부 자료실
주요정신질환의 병태생리에 대한 시스템 생물학적 접근: 질환-유전자 네트워크의 구성과 분석
- 담당부서 :
- 전화번호 :
- 등록일 :2016-01-05
목차
요약문 3
- 제 1 장 서론 9
- 제 1 절 연구의 배경 9
- 제 2 절 연구의 필요성 10
- 제 3 절 연구의 목적 12
- 제 2 장 연구내용 및 방법 14
- 제 1 절 연구내용 14
- 제 2 절 연구방법 19
- 제 3 장 연구결과 22
- 제 1 절 Tissue Sample의 인구학적/임상적 정보 22
- 제 2 절 microarray data processing 결과 22
- 제 3 절 3대 주요정신질환의 공통 차별발현유전자의 추출 25
- 제 4 절 Enrichment analysis 31
- 제 4 장 결론 및 제언 36
- 제 1 절 Ubiquitin 단백질 36
- 제 2 절 Ubiquitin 단백질의 기능 36
- 제 3 절 Ubiquitin과 3대 주요정신질환 37
- 제 4 절 연구결과 제한점 및 의의 39
- 제 5 절 정리 39
<표 목차>
- <표 1> 연구에 사용된 조직 샘플의 인구학적/임상적 정보 정리 22
<그림 목차>
- <그림 1> 장애의 주요 유발요인 9
- <그림 2 > 주요정신질환의 구분과 공통부분 11
- <그림 3 > Cross-disease approach 모형 11
- <그림 4 > 질환-질환 비교를 통해 주요 정신질환들 사이에 유전적 원인의 공유성을 찾은 실례 11
- <그림 5 > 주요정신질환들에서 관찰되는 증상 프로파일(임상사례) 12
- <그림 6 > 주요정신질환 환자에게 처방된 약물 프로파일(임상사례) 12
- <그림 7 > 본 연구에 사용된 마이크로어레이 데이터의 출처 14
- <그림 8 > 본 연구자가 현재 시행 중인 R 프로그래밍과 Bioconductor package를 이용한 microarray data 분석의 실제 예(예비연구결과 일부, unpublished data) 16
- <그림 9 > 차별발현 유전자군을 이용한 gene ontology analysis, 본 연구자가 현재 시행 중인 DAVID를 이용한 GO 분석의 실제 예(예비연구결과 일부, unpublished data) 16
- <그림 10 > Venn diagram showing the overlap between sets of genes differential expressed in schizophrenia group versus unaffected controls, bipolar disorder group versus unaffected controls, and major depressive disorder group versus unaffected controls. 17
- <그림 11 > Extracting disease-gene relationships 18
- <그림 12 > Disease network based on shared genes 18
- <그림 13 > 본 연구 방식의 plot 19
- <그림 14 > High-throughput genomic data analysis의 단계 20
- <그림 15 > Micorarray data experiment and analysis 21
- <그림 16 > Microarray data 분석을 통해 subgroup의 예후 예측하는 연구의 예 21
- <그림 17 > R 프로그램 홈페이지 23
- <그림 18 > Bioconductor 홈페이지 23
- <그림 19 > Data preprocessing(normalizing and filtering) 25
- <그림 20 > Venn diagram showing the differentially expressed genes in schizophrenia, bipolar disorder, compared with unaffected controls 27
- <그림 21 > DAVID 홈페이지 31
- <그림 22 > The top 10 enriched GO terms of functional enrichment analysis (for the biological process category) 32
- <그림 23 > The top 10 enriched GO terms of functional enrichment analysis (for the cellular component category) 33
- <그림 24 > The top 10 enriched GO terms of functional enrichment analysis (for the molecular function category) 34
- <그림 25 > KEGG pathway enrichment analysis of differential expressed genes. 35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가 적용되지 않는 자료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