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지사항
조현병과 가족의 힘
- 담당부서 :
- 전화번호 :
- 등록일 :2014-06-03
조현병과 가족의 힘
국립서울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송윤영
조현병이란 환각, 망상, 비논리적인 사고, 부적절한 행동 등의 양성 증상과 정상적인 활동이나 기능의 소실로 인한 무감동, 무표정, 무의지 등의 음성 증상을 보이는 정신질환을 이릅니다.
이러한 증상들은 일상 생활에서 흔히 경험하기 어렵기 때문에 조현병을 처음 진단 받은 환자의 가족들은 크게 당혹스러워 하고 환자의 변화를 받아들이기 어려워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대략 삼분의 일 정도의 환자들이 좋은 사회적 기능을 보이며 장기적으로 양호한 경과를 보이기도 하지만 1/3은 만성적인 장애 상태에 머물기도 합니다. 때문에 조현병 환자의 치료는 가족들의 꾸준하고 지속적인 관심과 격려를 필요로 합니다.
그렇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환자의 질병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는 과정이 중요합니다. 환자의 질병은 가족 중 어느 누구의 잘못만으로 발생한 것이 아니며 더더욱 환자의 잘못은 아닙니다.
정신병이라는 낙인은 환자뿐만 아니라 가족들에게도 수치심, 죄책감을 일으킬 수 있는데 이는 환자에게 더 큰 심리적 괴로움을 줄 뿐입니다. 어려운 질환의 치료에 있어 병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지 못하는 것은 조현병, 더 나아가서 정신질환만의 문제는 아닙니다.
암 진단을 받은 환자들 역시 자신의 진단을 받아들이기 어려워하고 현재의 상태에 이르게 된 원인을 자신에게서 찾으며 후회하고 수치스러워 하는 반응을 보이는 경우가 많습니다.
자신의 가족에게 조현병이 발생한 것을 받아들이는 것 역시 마음이 괴로운 일입니다. 하지만 그럴수록 질병의 초기부터 가족들이 마음을 다잡고 환자에게 바른 도움을 주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가족이 환자의 질병을 받아들이지 못할 경우 환자와 환자의 가족 구성원 사이에 오해를 일으키거나 갈등을 악화시키게 됩니다.
가장 흔한 경우로, 환자의 증상을 병으로 보지 못하고 실제 환자의 생각, 감정으로 간주하여 환자의 말과 행동에 상처를 받게 되는 일이 벌어집니다. 병의 증상은 환자가 의지로 조절하거나 수정하기 어렵다는 사실을 이해하여 오해로 인한 상처를 줄일 수 있어야 합니다.
이러한 오해가 반복되고 상처가 깊어지면 환자와 가족 사이 갈등의 골이 깊어지기도 하는데 그럴 경우 환자의 치료가 더욱 힘들어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환자의 질병을 받아들인다는 것을 환자의 미래를 포기하는 것으로 생각하시는 경우도 종종 있습니다.
이러한 현상을 정신과적으로 ‘부정(denial)’이라고 표현하는데, 받아들이기 힘든 상황에서 보여지는 심리적 작용 중 한 가지입니다. 이러한 부정은 일시적으로 마음을 편하게 해줄지는 모르나 현실 적응에 전혀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오히려 환자에 대한 비현실적인 기대, 그로 이한 좌절감을 겪으면서 환자뿐만 아니라 가족들 스스로에게도 더 큰 스트레스가 될 수 있습니다. 환자에게 주는 도움은 지나치지 않게 적절하고 일관되게 유지되는 것이 좋습니다.
마지막으로 환자를 돌보는 일과 가족들 개개인의 삶의 균형이 중요합니다.
조현병의 치료는 마라톤과 같기 때문에 가족들 또한 지치지 않게 몸과 마음의 건강을 돌보는 것이 필요합니다. 또한 가족들이 함께하는 시간과 마음의 여유가 환자를 돌보는 일에만 집중되어서도 안됩니다.
환자가 질병의 급성기에 있거나 재발의 징후를 보일 때에는 예외이지만 그 외에는 환자가 가족과의 공동체 생활을 지킬 수 있는 규칙을 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조현병 환자들은 주위 사람들이 필요로 하는 것을 잘 알아채는 판단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이러한 부분을 구체적이고 쉬운 가족 규칙으로 보완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 규칙은 처음부터 빠짐없이 정하기 보다는 꼭 필요한 규칙 두 세가지를 정하여 실행해보면서 고쳐나가는 것이 좋습니다.
물론 이러한 규칙이 왜 필요한 지에 대해서도 환자가 이해할 수 있는 단순하고 쉬운 설명을 해주어야 합니다. 환자에 대한 무리한 기대는 없애고 꼭 필요한 의무는 환자에게 요구하는 것입니다.
환자의 치료에 있어 고려해야 할 사항들은 이외에도 다양할 수 있습니다. 때문에 치료팀과 긴밀한 협력관계를 유지하며 검증되고 바른 지식을 습득하는 과정도 필요합니다.
어려운 치료이지만 반드시 나아지는 길이 있다는 희망을 가지고 노력하는 가족들과 함께라면 사랑하는 가족의 조현병을 극복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가 적용되지 않는 자료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