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비 1180px 이상
너비 768px - 1179px
너비 767px 이하

왕따 당한 어린이가 어른이 되면?

  • 담당부서 :
  • 전화번호 :
  • 등록일 :2014-08-25

왕따 당한 어린이가 어른이 되면?

Adult Health Outcomes of Childhood Bullying Victimization: Evidence From a Five-Decade Longitudinal British Birth Cohort

출처 : Ryu Takizawa, et al. Am J Psychiatry 2014; 171:777-784

집단 괴롭힘, 일명 왕따, 현상이 우리 사회에서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특히, 청소년들 사이에서 상당히 만연하고 있으며, 이로 인한 피해 학생의 정신적 고통의 심각성이 보도되거나, 심하면 자살로 이어지는 경우도 종종 대중매체를 통해 접할 수 있다. 온 국민이 분노하고 사회적으로 큰 파장을 일으킨 군대 내 윤 일병의 사망 사건 역시 집단 괴롭힘으로 인한 결과라 할 수 있다. 이런 큰 사건이 발생하면 우리는 이에 대한 강력하고도 근본적인 대책을 주문하지만, 또 어느 정도 시일이 지나면 이에 대해 다시 무관심해지는 것도 사실이다.

왕따 희생자들에 대한 지속적이고 장기적인 사회적 관심과 배려가 부족한 것이다. 집단 괴롭힘을 당한 피해자들은 오랫동안 정신적 고뇌와 사회적으로 위축된 삶을 살아가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 킹스 칼리지 런던(King's College London) 정신과 연구소의Ryu Takizawa 교수 연구진은 어릴 때 집단 따돌림을 당한 아이들을 50년 동안 추적 관찰하여 그들의 정신건강에 대한 결과를 발표해 그 연구결과가 주목된다.

연구진은 영국 국립 아동발달 연구(British National Child Development Study)에 등록된 아동 중 부모로부터 자식이 10대 때 집단 괴롭힘을 받은 경우가 있는지 없는지를 인터뷰를 통해 확인한 7771명을 대상으로 전향적 코호트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진은 대상 아동들을 23세부터 50세까지 조사하였고, 그들의 정신과적 질병 여부 및 사회적 상태에 대해서 추적 관찰하였다. 7771명 중 집단 괴롭힘을 받은 적이 있는 아동은 3214명이었으며, 4557명은왕따 경험이 없었다. 3214명 중 1086명은 상당히 자주 괴롭힘을 받았고, 나머지 2128명은 간헐적으로 괴롭힘 경험을 겪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을 대상으로 IQ 측정과 어린 시절의 역경(빈곤, 부모의 정신 병력, 가족 갈등, 신체 및 성적 학대 등) 여부를 조사하였고, 50세 인터뷰에서는 대상자들의 인지기능과 교육, 결혼, 취업 등의 사회적 상태에 대해서도 조사하였다.

괴롭힘을 당한 경험이 있는 대상자들은 지능지수가 낮으며, 남자인 경우, 부모가 육체노동에 종사하거나 자녀에 대한 부모의 관심이 낮은 그룹에서 많이 발생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 집단 괴롭힘의 영향은 아동기뿐 아니라 40년이 지난 후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자주 놀림을 당한 그룹은 우울증과 불안장애가 1.7배 이상, 자살은 정상 그룹에비해 2배 이상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간헐적으로 괴롭힘을 당한 그룹도 우울증의 빈도가 정상보다 1.7배 더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런 정신 질환의 발생 가능성은 어린 시절 역경(빈곤, 부모의 정신 병력, 가족 갈등, 신체 및 성적 학대 등)이 많을수록 더 증가되었는데,자살의 경우는 4배 이상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리고 아동기에 왕따를 경험한 사람은 50세에 일반적인 건강상태 자가평가에서 낮은 점수를 보여주었고, 인지능력도 정상 그룹에 비해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괴롭힘을 당한 경험이 있는 그룹은 있는 일반적으로 교육 수준이 낮고, 실업상태이거나 독신으로 사는 경우가 더 많았다.

집단 괴롭힘의 피해자는 따돌림을 받을 당시뿐 아니라 그 이후 상당히 긴 기간을 정신적 및 사회적으로 문제를 안고 살 가능성이 높은 것을 이번 연구결과를 토대로 추론해 볼 수 있다. 물론 이런 결과는 개인적인 성향 및 개개인의 환경적 요소도 일부 영향을 미쳤겠으나, 여러 가지 조건들을 보정하더라도 아동기 시절의 왕따 경험은 한 개인에게서 씻을 수 없는 상처로 남게 될 수 있음을 기억해야 한다. 나와 내 이웃의 자녀가 한 개인의 삶을 짓밟는 왕따 가해자가 될 수도, 혹은 피해자로서 고통의 나날을 보내고 있을지 모른다. 집단 괴롭힘 현상이 근절되도록 부모와 학교, 그리고 사회의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하다.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가 적용되지 않는 자료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