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객참여
노인성 고혈압
- 담당부서 :
- 전화번호 :
- 등록일 :2009-03-17

노인에게 있어서 고혈압은 각종 심장질환, 뇌혈관질환과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으며 각종 사망 원인의 가장 큰 위험인자가 된다. 55세 때 혈압이 정상이라 하더라도 매년 고혈압 발생 위험은 높아져 10년 후 고혈압 발생 위험은 60∼80% 정도가 된다.
정상 혈압은 수축기 혈압 120㎜Hg 미만이며 이완기 혈압 80㎜Hg 미만이다. 수축기 혈압이 140㎜Hg 이상이거나 이완기혈압이 90㎜Hg 이상인 경우 고혈압, 정상혈압과 고혈압 사이의 수치를 보이는 경우는 경계 고혈압이라고 한다.
보통 수축기 혈압은 사춘기 이후 점차 지속적으로 상승하게 된다. 이완기 혈압도 나이에 따라 상승하다가 50세 전후에 정점에 다다르고 60세 이후에는 점차 하강하게 된다.
소위 노인성 고혈압의 특징은 수축기 고혈압(수축기 혈압이 140㎜Hg 이상이면서 이완기 혈압이 90㎜Hg 미만인 경우)이 자주 나타난다. 또 수축기와 이완기 혈압의 차이가 현저해 보통 80㎜Hg을 넘는다. 이러한 수축기와 이완기의 혈압차이를 맥박압이라고 한다. 이는 50세 이후 증가하게 되며 맥박압의 증가는 심혈관 질환에 대한 위험인자가 된다. 노화가 진행되면 동맥이 경직되기 때문에 심근 비후 및 전신혈관 저항도 증가하게 된다.
노인의 혈압은 변동이 심해서 잴 때마다 다르고 재는 사람에 따라 차이도 많다. 흔히 흰 가운만 입은 사람을 보면 긴장이 고조되어 혈압이 올라가는 현상을 보이는 ‘백의 고혈압’도 나타나기도 한다. 상완동맥이 일반인에 비해 딱딱하기 때문에 실제보다 혈압이 낮게 측정되어 ‘가성 고혈압’을 보이기도 한다.
특히 노인 환자들은 젊은 연령보다 자율신경계의 반응이 둔하므로 혈압의 변화가 심해 기립성 저혈압이나 식후 저혈압이 자주 발생한다. 그러므로 노인들을 대상으로 혈압을 측정할 때는 하루에도 여러 번 측정해야 한다. 자세나 식사에 따른 변화도 측정해야 한다.
일단 고혈압은 적절한 치료는 필수다. 먼저 평소 식습관 중 염분을 줄이고 술, 담배를 피해야 한다. 또한 정상체중을 유지하기 위해 운동이나 심리적 안정을 취하는 비약물적 요법이 반드시 선행돼야 한다. 이와 함께 약물요법으로 항고혈압 약제를 사용한다. 그러나 항고혈압약제는 아주 다양하므로 환자의 특성에 맞게 처방되어야 하며 노인 환자의 특수성을 고려해야 한다.
노인 환자에서의 고혈압 약제는 일반 성인에서 보다 저용량에서 시작하여야 하며 점진적으로 증량하여 목표혈압에 도달해야 한다.
특히 노인은 당뇨, 뇌졸중, 심장질환, 동맥질환 등과 같은 동반 질환이 매우 흔하므로 약제의 선택에 있어서 의사와의 자세한 상담이 필수다. 따라서 장기 치료를 요구하는 고혈압의 치료는 전문의와 자세한 상담을 통해 치료 계획을 세우고 단계별로 치료해야 한다.
/서울시북부노인병원 내과 권미광과장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가 적용되지 않는 자료입니다.
- 이전글
-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