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비 1180px 이상
너비 768px - 1179px
너비 767px 이하

고객참여

고혈압 의료비 증가 주범은?

  • 담당부서 :
  • 전화번호 :
  • 등록일 :2009-06-02
파이낸셜뉴스

고혈압 의료비 증가 주범은?

기사입력 2009-06-01 17:15 기사원문보기


지난 10년간 고혈압 진료비용이 9배나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림대의대 사회의학교실 김재용 교수가 오는 9일 열리는 ‘제7회 한림-컬럼비아-코넬-뉴욕프레스비테리안 심포지엄’에서 발표할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10년간(1995∼2005년) 국내 건강보험 총진료비는 고혈압 9.0배, 뇌졸중 6.9배, 심장질환 6.0배, 당뇨병 8.0배 등으로 급증했다고 1일 밝혔다.

이는 같은 기간 전체 국민의료비가 2.9배 증가한 점을 고려할 때 심혈관계-만성질환이 전체 의료비 증가의 주범이라는 게 김 교수의 분석이다.

특히 고혈압의 경우 유병률이 1995년 3.3%에서 2005년 10.1%로 3배 증가한 데 비해 같은 기간 의료비용은 약 3590억원에서 3조2440억원으로 무려 9배나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김 교수는 이처럼 고혈압의 의료비용 상승폭이 큰 이유로 의료이용률 증가(37.3%), 치료 강도의 증가에 따른 순비용 증가(29.6%), 물가인상(17.0%), 사회의 노령화경향(16.1%) 등을 꼽았다.

이중 의료이용률이 대폭 증가한 것은 최근 들어 건강검진이 보급되면서 고혈압 진단율이 크게 높아졌기 때문으로 김 교수는 분석했다.

실제로 1998년 27%에 불과하던 고혈압 인지율은 2001년 36.1%, 2005년 59.8%로 지속적으로 증가했다.

또 고혈압을 알고도 방치했던 환자들도 차츰 치료를 시작해 치료율이 같은 기간 19.1%에서 29.3%, 다시 47.1%로 큰 폭 상승했다.

김재용 교수는 “현재 방치되고 있는 고혈압 환자들이 뒤늦게 치료를 시작하면 국가적인 의료비용은 더 늘어나는 만큼 장기적으로 환자들을 조기에 발견, 치료하는 게 개인적으로 사회적으로 더 이익”이라고 주장했다.

/pompom@fnnews.com 정명진기자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가 적용되지 않는 자료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