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비 1180px 이상
너비 768px - 1179px
너비 767px 이하

언론 및 보도

【의사신문】국립정신건강센터, 한국인 맞춤형 정신건강 도구 개발

  • 등록자 :홍보팀
  • 전화번호 :0222040016
  • 등록일 :2024-10-18


국립정신건강센터는 18일 한국형 정신건강 평가도구 3종(우울, 불안, 스트레스)을 개발했다고 발표했다.

이번 개발은 한국인의 문화적, 정서적 특성을 반영하여 기존 외국에서 개발된 평가도구의 한계를 보완하려는 목적으로 추진됐다. 기존 도구들은 대부분 외국에서 개발된 후 번역되어 사용됐고, 문화적 차이를 충분히 반영하지 못한 점에서 한계가 있었다. 특히 사용료 문제와 법적 분쟁의 위험성도 꾸준히 제기되어 왔다.

이번에 개발된 평가도구는 한국인의 문화적 특성을 고려하여 환자들이 흔히 사용하는 언어를 기반으로 구성된 것이 특징이다.

이를 통해 환자들이 자신의 증상을 쉽게 이해하고 정확히 표현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한국형 우울(National Depression Scale; NDS), 불안(National Anxiety Scale; NAS), 스트레스(National Stress Scale; NSS) 척도는 각각 11~12개의 표준형 문항과 3개의 단축형 문항으로 나뉘어져 있어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활용할 수 있다.

국립정신건강센터 곽영숙 센터장은 “한국형 우울, 불안, 스트레스 척도의 개발은 정신건강 문제를 조기에 발견하고 적절히 개입할 수 있는 중요한 도구가 될 것”이라며, “향후 소아청소년용 평가도구 등 다른 정신건강 문제에 대한 평가도구 연구도 이어나가겠다”고 밝혔다.

또한, 이번 연구는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정신건강 문제가 급증하는 상황에서 이루어졌으며, 정신건강 위기를 겪는 인구를 조기에 선별하고 확인할 수 있는 도구의 필요성이 그 어느 때보다 절실한 시점에서 그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특히, 이번 한국형 평가도구는 기존 평가도구들이 단순 번역에 그친 것과 달리 한국인의 정서와 사고방식을 반영한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어 임상 현장과 지역사회에서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자세히 보기> 출처: 의사신문(http://www.doctorstimes.com/news/articleView.html?idxno=229464)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가 적용되지 않는 자료입니다.